聖痕: The Stigmata

22. 7. 15. – 8. 12.

Yunhee Lee

[The Stigmata], Manifestation of Dialectical Process

THEO presents Yunhee Lee’s solo exhibition, [The Stigmata1], from July 15 to August 12, 2022.

Yunhee Lee has reinterpreted Dante’s “The Divine Comedy,” a collection of Western religious/mythological worldviews and narratives, in a “saga of a girl who overcomes life’s adversity and pioneers her way to destiny,” building her own narrative and worldview rather re-presenting. Through this exhibition [The Stigmata], the artist hopes to bring light to her narrative based on the worldview she has meticulously built, about “desire and anxiety,” the essence of human nature, and “heal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The artist produces each unit and completes the work by recombining them, which is similar to the way classical narratives are weaved into the artist’s works. In this process, traces of iconography that crosses various boundaries can be seen, ranging from medieval European altars, baroque styles, grotesque patterns, to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s (specifically Gam No Taeng Hwa) and historical paintings. These function as a universal and vast narrative device found in traces of history. If ‘desire and anxiety’ are viewed as the essence of human nature, these traces would eventually manifest into sacred remains unearthed from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essence. However, in the present, we no longer discuss the stories of overcoming life and death, that is, the mythological narrative.

At this point, the artist view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essence as the process of “healing” and newly constructs and recreates the story by implementing diverse methods of visualization. Each work, which is completed with a combination of various demarcated units, seems somewhat heterogeneous and contradictive, but performs as an individual allegory. Through a dialectical2 process, the viewers are able to reach the artist’s interpretation of “healing” that she intends to convey.

Life imposes various pains and wounds on men stemmed from desire and anxiety, but as humans grow through the process of pushing through them, desire and anxiety rather become powerful intrinsic driving forces. The wounds and pains may in fact be the stigmata of the process of striving to ultimately reach a better future. The dreamy imagery of the works resembles the moment of breaking free from pāramitā3, of us when we wept vigorously from the intense shock of birth, fiercely fighting against pain of life.

“This hurt and pain we are experiencing now is a training to be reborn as a new human being.”

-Jalāl ad-Dīn Muhammad Rūmī 4

1  Refers to wounds that are said to have occurred on the body when Jesus Christ was crucified, or similar wounds that are said to appear on Christian’s body by scientifically inexplicable forces.

2  A philosophical method of finding truth through discussing contradictions.

3  A Buddhist term for “a world of enlightenment free from all pain and worldly burdens”.

4  A representative mystic poet of Persian literature who sings tradition of Sufism (the doctrine of ascetic and mystic aspect of Islam). He embodied unconditional divine love and men’s seeking for such in poetry.

THEO 는 2022 년 7 월 15 일부터 8 월 12 일까지 이윤희 개인전 『聖痕(성흔):The Stigmata』를 개최합니다.

『聖痕(성흔), 변증의 광경』

이윤희는 서양의 종교/신화적 세계관과 서사의 집대성인 단테의 ‘신곡’을 (모티브로) ‘삶의 역경을 극복하며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나가는 한 소녀의 무용담’으로 재해석하여 재현의 형식이 아닌 본인만의 서사와 세계관을 구축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이번 개인전 『성흔:The Stigmata』 을 통해 작가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작가 본인이 구축한 세계관을 중심으로 인간의 본질인 “욕망과 불안”,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인 “치유”에 관한 서사이다.

작가는 각 유닛을 제작하여 재조합의 과정을 거쳐 작품을 완성하는데 이 과정은 고전서사가 작가의 작품에 착안되는 방식과 유사성을 띈다. 이 과정에서 중세 유럽의 제단, 바로크 양식, 그로테스크 문양과 불교의 감로탱화, 역사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계를 넘나드는 도상의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흔적들은 역사의 흔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방대한 서사의 장치들로 기능한다. ‘욕망과 불안’을 인간의 본질로 바라본다면 이러한 흔적들은 결국 본질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신성한 흔적으로 남겨질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우리는 삶과 죽음을 오가는 극복의 서사, 즉, 신화적 서사에 대해 더 이상 논의하지 않는다.

이 지점에서 작가는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하여 재탄생시키는 방식으로 본질에 대한 극복의 과정을 ‘치유’의 과정으로 바라보고 다양한 시각화의 방식으로 구현한다. 다양한 탈경계적 유닛들의 조합으로 완성되는 작품은 다소 이질적이고, 모순적으로 시각화되지만 하나의 알레고리로 작용하며 이를 바라보는 감상자는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작가가 작품과 전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치유’에 대한 해석을 가능케 한다.

삶은 인간에게 욕망과 불안을 기제로 다양한 고통과 상처를 안기고, 인간은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하기에 욕망과 불안은 오히려 강력한 본질적 원동력이 된다. 삶에서 파생되는 상처와 고통은 결국 더 나은 미래를 맞이하기 위해 극복해 나가는 과정의 성흔일 것이다. 작품에서 보이는 몽환적 이미지는 피안을 벗어나던 순간, 즉, 탄생의 강렬한 충격에서 힘차게 울던 모습으로, 고통을 향해 우렁차게 대항하던 그 때의 우리 모습과도 닮아있다.

“우리가 겪는 지금의 이 상처와 고통은 새로운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한 훈련이다.”

-Jalāl ad-Dīn Muhammad Rūmī

​후원: 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체육관광부

© 2020 – 2024 THEO  |  All rights reserved.